<p></p><br /><br />통일부가 지난달 북한 인권단체 워크숍을 비공개로 진행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통일부는 보안을 지켜달라고 신신당부했는데, 정작 워크숍은 인권단체들의 반발로 파행됐습니다. <br> <br>북한 눈치보기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통일부는 지난달 12일 열린 워크숍에 앞서 북한인권 단체들에게 안내 메일을 보내면서 보안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"2018년 북한인권 민간단체 활동 현황을 공유하고자 한다"며, <br> <br>비공개 행사임을 강조하고 "워크숍이 언론에 공개되지 않도록 각별하게 유의해 달라"는 요청을 남겼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인권 문제를 드러내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[박상학 /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] <br>"북한인권단체 대표들이니까 북한을 의식해서 김정은 정권을 의식해서 비공개를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보안을 유지한 워크숍은 결국 파행됐습니다. <br> <br>참석자 가운데 절반 가량이 워크숍 도중 자리를 떴습니다. <br> <br>인권활동에 대한 의미있는 논의보다는 정부의 주장만 늘어놨다는 게 참석자들 설명입니다. <br> <br>초청받은 일부 단체는 기대할 게 없다는 이유로 아예 불참했습니다. <br> <br>[도희윤 / '행복한 통일로' 대표] <br>"이번 정부에서는 북한인권과 관련돼서는 하등 관심이나 의지 이런 것을 찾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저는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이 없었습니다." <br> <br>통일부 관계자는 워크숍 비공개에 대해 "공론화를 위한 모임이 아니었기 때문"이라며, "북한 인권 활동가들의 의견 수렴 자리였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박형기